섬세하게 이해하라, 섬세하게 이해받고 싶다면

업데이트 2021-09-13 01:58
입력 2021-09-12 17:12

[지금, 이 영화] ‘토베 얀손’

이미지 확대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새삼스럽지만 우리는 남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가만 보면 소설, 드라마, 영화 다 남 이야기다. 이것을 왜 보느냐고 묻는다면 당신은 뭐라고 답할까? 재미있어서. 떠올리기 쉽지만 하나 마나 한 대답이다. 이보다는 나은 이유를 대고 싶다. 그중 하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면 어떨까. 거기에는 극중 인물처럼 누군가에게 나도 섬세하게 이해받고 싶다는 마음이 자리하고 있다고. 극중 인물은 최소 두 번 섬세하게 이해받는다. 처음에는 감독에게, 나중에는 관객에게.

실존 인물을 조명한 전기 영화 ‘토베 얀손’도 마찬가지다. 토베 얀손(1914~2001)은 무민 시리즈의 원작자로 알려진 핀란드 작가다. 귀여운 그림체로 아이들에게 인기 있는 작품을 여럿 남겼다는 정보 정도는 아는 사람이 많을 테다. 그러나 한두 줄 요약된 문장으로 토베는 설명되지 않는다. 우리의 삶이 고작 한두 줄 요약된 문장으로 설명될 수 없듯이. 자이다 베리로트 감독은 말한다.

“영화의 핵심은 순수 예술과 무민 창작 사이의 고민과 아토스비비카와의 열정적인 사랑 이야기에서 볼 수 있는 예술가로서의 자신을 찾기 위한 그의 탐구이다.” 이처럼 토베는 먼저 감독에게 섬세하게 이해받았다. 회화와 같은 순수 예술을 하는 자신이 진짜 정체성이고, 무민을 그리는 자신은 돈을 벌기 위한 가짜 정체성이라고, 30대 토베(알마 포위스티)는 생각했다. 또한 그는 사람을 사랑하는 감정의 방이 하나가 아니라, 추가로 만들어질 수도 있음도 체감했다. 토베와 아토스(샨티 로니), 비비카(크리스타 코소넨)와의 동시적 관계는 그렇게 생겨났다.

토베는 본인이 탄생시킨 귀여운 그림체와 비슷한 귀여운 인생을 산 사람이 아니었다. 그가 사랑한 아토스나 비비카와 동일하게 토베 역시 모순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제 우리의 몫이 중요해진다. 그에 대한 섬세한 이해는 관객에 의해 한 번 더 수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감독이 오프닝과 클로징을 극중 토베와 실제 토베가 춤추는 장면으로 배치한 연유를 궁리해 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더불어 토베가 아토스를 떠나고, 비비카가 토베를 떠났던 순간에 그가 느꼈을 감정에 이입해 보는 것도 추천하는 방법이다.
이미지 확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관객으로서 취하면 안 되는 태도도 있다. 특히 토베의 사랑을 자기 규범에 맞춰 옳고 그름으로 평가하면 곤란하다. ‘당신이 옳다’를 쓴 정혜신의 전언을 참고하면, ‘충조평판’(충고조언평가판단)은 타인을 섬세하게 이해하려는 자세를 무너뜨린다. 영화 한 편 보는 데 왜 이래야 하나. 되풀이하건대, 누군가에게 나도 섬세하게 이해받고 싶다는 마음이 보편적이라서 그렇다. 그것이 충족되려면 각자 연습이 필요하다. 세상은 나를 포함한 타인에 대해 이해가 아닌 평가를 강요하므로, 본질적으로 완전한 이해란 불가능하므로, 우리는 더욱 섬세하지 않으면 안 된다. 남 이야기는 이렇게 하는 것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2021-09-13 25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