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거스른 거장의 느와르… 강호의 의리녀를 맞이하라

업데이트 2021-06-07 01:04
입력 2021-06-06 17:16

[지금, 이 영화] 강호아녀

이미지 확대
영화 ‘강호아녀’
에스와이코마드 제공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강호아녀’는 강호의 여자라는 뜻이다. 강호(江湖)는 강과 호수를 붙인 단순한 단어지만 그 쓰임은 폭넓다. 세속을 피해 은거한 사람들이 사는 ‘자연’을 가리키기도 하고, ‘세상 자체’를 비유적으로 일컫기도 한다. 특히 강호는 무협지를 좋아하는 독자에게는 익숙한 용어다. 거기에 등장하는 영웅호걸들은 본인이 몸담은 세계를 강호라고 칭하니까. 영화 ‘강호아녀’에서도 강호에 대한 정의를 내린다. 조직폭력배 빈(리아오판)과 그의 연인 차오(자오 타오)의 대화를 통해서다.

●“남을 죽이지 않으면 내가 죽는다”

빈: (권총을 들고) “이 바닥에서는 죽이지 않으면 죽어.”/ 차오: “그 바닥이 어딘데?”/ 빈: (권총을 물끄러미 바라보며) “강호.”/ 차오: “난 그 바닥 사람이 아냐.”/ 빈: (권총을 차오에게 건넨 뒤) “그거 알아? 지금 너도 강호에 있어.”/ 차오: “영화를 너무 많이 봤네. 강호는 무슨. 지금이 옛날인 줄 알아?”/ 빈: “사람이 있는 곳은 다 강호야.”

그리고 두 사람은 들판에서 같이 권총을 잡고 허공을 향해 방아쇠를 당긴다. 이렇게 차오는 남을 죽이지 않으면 자신이 죽는 강호의 여자가 됐다.

여기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다. 이러한 강호에서 절대적으로 떠받드는 가치가 하나 있다는 사실이다. ‘의리’가 그것이다.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약자를 돕는 정의 등 이에 대해서도 여러 설명을 덧붙일 수 있을 테다. 핵심은 분명하다. 의리의 관건은 맹세를 저버리지 않는 것, 믿음을 지키는 것이다. 선인이든 악인이든 간에 의리를 깨뜨리면 그 인물은 강호에 발붙일 수 없다. 이 작품은 초반부터 의리의 화신인 삼국지 관우상(像)이 등장한다. 과연 의리를 강조하는 강호를 넣은 제목을 가진 영화답다.

그러나 김용의 ‘소오강호’를 비롯한 대부분의 무협지가 그러하듯이, 의리를 끝까지 굳게 지니는 인물은 거의 없다. ‘강호아녀’도 마찬가지다. 조직폭력배의 세계를 강호 운운하던 빈이 차오를 배신한다. 차오는 빈을 위해 스스로 죄를 뒤집어쓰고 5년 동안 복역했다. 빈은 면회 한 번 오지 않고 소식을 끊어 버린다. 출소 후 차오는 빈을 만나러 긴 여정에 나선다. 하지만 재회한다고 달라지는 것은 없다. 다들 예상했다시피 그는 차오를 버리고 새로운 연인과 지내고 있었다.
이미지 확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복수의 감정마저 태워버린 서사

그럼 이제부터 차오의 복수극이 시작되지 않을까. 아니, 그러면 이것은 막장 드라마의 흔한 공식을 따르고 만다. ‘스틸라이프’(2006)와 ‘천주정’(2013) 등을 만든 감독 지아장커는 거장이다. 거장은 뻔한 서사를 거부한다. 그는 이 영화를 재가 될 때까지 의리를 견지하는 차오의 이야기로 승화시킨다. 그래서 이 영화의 다른 제목이 ‘재는 가장 순수한 하양’(Ash Is Purest White)이기도 한 것이다. 얼마나 자기를 뜨겁게 태우고 또 태워야 애증이 그렇게 변할까. 이 고온은 잴 수 없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2021-06-07 23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