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군, 북한제 ‘불새4’ 대전차무기 파괴…“북러 거래 가속 증거” [포착](영상)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4-12-01 14:19
입력 2024-12-01 14:19
이미지 확대
최근 우크라이나 북동부 하르키우 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 드론에 촬영된 불새-4(왼쪽). 2018년 9월 9일 북한에서 공개된 불새-4. / 출처=우크라이나 제3독립강습여단 텔레그램, 유로마이단 프레스
최근 우크라이나 북동부 하르키우 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 드론에 촬영된 불새-4(왼쪽). 2018년 9월 9일 북한에서 공개된 불새-4. / 출처=우크라이나 제3독립강습여단 텔레그램, 유로마이단 프레스


우크라이나군이 북동부 하르키우 전선에서 북한산 대전차 유도미사일(ATGM) 탑재 장갑차 ‘불새-4’를 파괴했다고 우크라이나 언론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뉴보이스오브우크라이나(NV)와 유로마이단프레스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제3독립강습여단은 이날 텔레그램에 무인체계 대대 소속 무인항공기(UAV) 크루(조·2~5명 단위) ‘비트롤롬’이 하르키우에서 이동 중인 불새-4를 파괴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이미지 확대
2020년 10월 10일 북한에서 공개된 불새-4 / 출처=노동신문
2020년 10월 10일 북한에서 공개된 불새-4 / 출처=노동신문


불새-4는 사거리가 10∼25㎞로 추정되는 북한의 대전차무기다. 과거 북한이 러시아제 대전차미사일을 복제해 만든 뒤 성능을 개량한 것이다.

지난 7월 30일 러시아가 이 무기를 사용하고 있다는 보도가 우크라이나 군사매체 밀리타르니를 통해 처음 나왔고, 이후 한국 국가정보원이 우크라이나 국방정보총국(GUR)이 전장에서 수거한 파편 등을 근거로 불새-4가 지원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유로마이단프레스는 이런 정황이 북한산 군사 장비가 러시아로 더 많이 흘러 들어가고 있다는 증거라고 짚었다.

이미지 확대
최근 우크라이나 북동부 하르키우 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 드론에 촬영된 불새-4  / 출처=우크라이나 제3독립강습여단 텔레그램
최근 우크라이나 북동부 하르키우 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 드론에 촬영된 불새-4 / 출처=우크라이나 제3독립강습여단 텔레그램


이미지 확대
우크라이나군은 또 예하 드론 부대가 다양한 소형 FPV(1인칭 시점) 드론을 사용해 불새-4 뿐 아니라 T-72 우랄 전차를 불태우고 적이 수풀에 숨겨둔 카마즈 트럭까지 파괴했다고 밝혔다. / 출처=우크라이나 제3독립강습여단 텔레그램
우크라이나군은 또 예하 드론 부대가 다양한 소형 FPV(1인칭 시점) 드론을 사용해 불새-4 뿐 아니라 T-72 우랄 전차를 불태우고 적이 수풀에 숨겨둔 카마즈 트럭까지 파괴했다고 밝혔다. / 출처=우크라이나 제3독립강습여단 텔레그램


우크라이나군 당국은 또 비트롤롬 조가 다양한 소형 FPV(1인칭 시점) 드론을 사용해 불새-4 뿐 아니라 T-72 우랄 전차를 불태우고 적이 수풀에 숨겨둔 카마즈 트럭까지 파괴했다고 밝혔다.

이 드론 운영자들은 적 병력에도 피해를 입혔다. 3강습여단은 비트롤롬 조원들이 건물 안에 있던 러시아군 은신처를 공격해 적병들을 몰아냈다고 언급했다.

우크라이나 측은 지난해 말부터 여러 전선에서 북한산 미사일 파편을 회수했으며,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한에서 육로와 해상을 통해 러시아로 무기가 운송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우크라이나는 또 북한군이 러시아 쿠르스크주에 배치돼 전투에도 참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는 물론 국정원도 북한군의 우크라전 파병을 확인한 바 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