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시리아의 ‘봄’
김미경 기자
수정 2024-12-11 02:10
입력 2024-12-11 02:10
서울 시내에서 비상계엄 탄핵을 촉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있었던 지난 8일 지구 다른 편인 스웨덴 스톡홀름 광장에서는 기쁨에 찬 인파의 환호로 가득했다. 시리아 내전 13년 만에 반군이 독재자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을 쫓아내고 승리를 선언한 날. 전 세계에 흩어진 시리아 난민들이 “해방”을 외친 순간이었다.
아버지의 30년 집권에 이어 24년간 시리아를 철권통치한 알아사드는 반군의 대공세로 10일 만에 무너져 러시아로 야반도주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경제 위기와 부패로 정부군의 결속이 흐트러진 사이 반군이 파죽지세로 진격했다. 러시아·이란 등 알아사드의 우방국들이 다른 전쟁에 발이 묶여 지원에 손을 놓은 것도 정권 붕괴를 앞당겼다. 인접국인 튀르키예의 후원도 반군 승리를 견인한 요인으로 꼽힌다.
‘아사드의 퇴장’은 시리아뿐 아니라 다른 독재국가들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시리아 반군은 수도 다마스쿠스 북쪽 세드나야 감옥 등 각지 감옥에서 수감자들을 석방했다. ‘죽음의 캠프’로 불리는 세드나야 감옥에서는 내전 동안 3만여명이 처형됐고 고문, 굶주림으로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폴커 튀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알아사드뿐 아니라 범죄에 관여한 모든 이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일체의 증거를 수집·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리아 반군은 또 여성의 히잡 강제 착용을 금지하거나 언론인을 위협하는 행위 등도 제재하기로 했다. 온건한 민주주의 정책을 내세운 것이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가자전쟁 휴전협상에 훈풍으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알아사드의 몰락이 인질 귀환 합의 진전에 도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주의 첨병이었던 한국에서는 국민이 계엄군을 몸으로 막아야 했다. 끝나지 않을 듯하던 시리아의 독재는 막을 내렸고 반군 손에 나라의 운명이 넘어갔다. ‘무정형의 민주주의’를 세계가 목도하는 중이다.
김미경 논설위원
2024-12-1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